일본과 미국 과학자들이 하와이에 있는 마우나케아산 정상에 있는 스바루 망원경으로 이 은하를 발견했으며,
GN-108306 으로 명명된 은하에서 매년 우리태양 약 100개 정도의 별이 만들어 진다고 합니다.
129억광년이나 떨어진 이 은하는 현재까지 발견된 먼거리의 은하중 가장 밝으며, 그 크기는 우리은하의 1/5, 질량은 1/100 이라고 합니다
129억광년 떨어졌으며 매우 밝은 별을 집중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것은, 이 은하가 빅뱅이후 7억5천만년이 지난 뒤에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과학자들은 GN-108036 이 이렇게 빠른 속도로 별을 만들어 냈다는 것은 우주의 나이가 지금의 5% 수준인 시기에 우주가 급속히 질량을 불려 나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현재 보이는 크고 발달된 은하의 조상일 가능성이 높다고도 합니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뱃속에 들어간 라면 3시간 후에도 그대로 ... (0) | 2012.02.09 |
---|---|
태양폭발 . 강력한 태양폭풍 발생 . 2013년 태양폭발과 관련성은? (0) | 2012.01.24 |
러시아 화성 탐사선 태평양 추락 . 화성 위성 탐사선 추락 포보스-그룬트호 추락 사고 (0) | 2012.01.16 |
소닉붐 이란 ? 소닉붐 뜻 . 음속폭음 (0) | 2012.01.05 |
2012년 우리나라 위성 4개 발사 예정 . 나로과학위성 . 아리랑 5호 . 아리랑 3호 . 과학기술위성 3호 . (0) | 2012.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