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0년전 휘발유 가격, 20년전 휘발유가격, 30년전 휘발유가격 얼마였을까? 최근 10년,20년,30년간 휘발류 가격 변동추이

 

물가는 엄청나게 올랐는데, 휘발류 가격은 사실 크게 변함이 없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저도 오랜 시간 운전을 하면서, 막상 오른 물가만큼 휘발류 가격은 큰 차이가 없다는걸 몸소 느끼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 30년간 국내 휘발유 평균 가격을 연도별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고, 가격 변동의 원인이 된 주요 이슈까지 함께 분석해 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1995년부터 2025년까지 연도별 평균 휘발유 가격(원/리터)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국제 유가 상승과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라 휘발유 가격이 어떤 식으로 변화했는지 확인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평균 가격이기에, 평소에 차감하는 가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당장 저희집 근처의 휘빌유는 포스팅하는 지금 기준 1600원 중반대가 제일 많습니다.

 

 

 

연도 리터당 휘발류 평균가 주요 사건 및 변동 요인
2025 1,968 원 국제 유가 상승 지속, 원/달러 환율 변동성 확대
2024 1,930 원 유류세 인하 정책 일부 해제, 중동 지정학적 위기
2023 1,900 원 사우디-러시아 감산 정책, 미국 금리 인상 여파
2022 2,063 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공급망 불안정으로 유가 급등
2021 1,600 코로나19 회복기, 경제 활동 재개로 유가 상승
2020 1,450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유가 폭락, 국내 휘발유 가격 하락 (2020년 5월 1250원까지 폭락)
2019 1,500 미중 무역전쟁 영향, 경기 둔화로 유가 하락
2018 1,600 국제 유가 상승, 유류세 한시적 인하 시행
2017 1,450 저유가 기조 유지, 국내 경기 둔화
2016 1,400 OPEC 감산 합의 실패, 유가 저점 기록
2015 1,500 국제 유가 하락, 배럴당 40달러대 진입
2014 1,800 배럴당 100달러대 유지, 국내 휘발유 가격 고점
2013 1,900 중동 정세 불안, 원유 생산 차질 우려
2012 2,062 국제 유가 상승, 리터당 2,000원 돌파
2011 1,950 리비아 내전, 중동 정세 악화로 유가 급등
2010 1,700 글로벌 경기 회복, 유가 반등
2009 1,600 금융위기 이후 유가 반등, 경기 부양책 시행
2008 1,900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유가 사상 최고점 기록
2007 1,600 국제 유가 상승세 지속, 배럴당 90달러대 진입
2006 1,500 중동 긴장 고조, 휘발유 가격 상승
2005 1,400 허리케인 카트리나 영향으로 미국 원유 생산 차질
2004 1,300 국제 유가 50달러 돌파, 국내 기름값 인상
2003 1,200 이라크 전쟁 발발, 원유 공급 우려
2002 1,100 경기 회복세로 유가 상승
2001 1,000 9.11 테러로 인한 경기 침체, 유가 급락
2000 900 OPEC 감산, 국제 유가 급등
1999 800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경기 회복, 유가 반등
1998 1,122 외환위기 영향, 국내 경제 침체로 유가 하락
1997 700 외환위기 발생, 원/달러 환율 급등
1996 600 유가 안정세 유지
1995 598 저유가 시대 지속

 

 

위는 각 년도별 평균 휘발류 가격을 정리한 표 입니다.

말 그대로 평균일뿐, 한해 내에서도 휘발류 가격이 들숙날숙 할때도 많죠.

예를 들자면, 비교적 최근인 2020년 휘발류의 평균 가격은 1,450원 이였지만, 2020년의 휘발류 시작가격은 1월 1,568원이였으며, 국제 유가 하락의 여파로 인해서 2020년 5월에는 1,250원까지 평균가가 내려갔으며, 이때 일부 주유소는 1100원 미만으로 판매를 하기도 했어서 1000원대 휘발류 가격이 현실호하가 되기도 했었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평균치가 1,450원이 되는 것 입니다.

 

휘발유 가격은 아래와 같은 요인들로 변동이 되는데요

 

우선, 휘발유 가격은 원유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대표적인 사건으로는 2008년 금융위기,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14년 유가 고점 등이 있습니다. 국제 유가가 상승하면 국내 휘발유 가격도 오르고, 반대로 하락하면 국내 가격도 떨어집니다.

 

또, 휘발유는 대부분 원유를 수입하여 정제하기 때문에 환율 변동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1997년 외환위기 당시 환율이 급등하면서 휘발유 가격도 상승했습니다.

 

세금도 큰 요인이죠, 휘발유 가격의 절반 이상이 세금으로 구성됩니다. 2018년 유류세 한시적 인하와 같은 정책이 휘발유 가격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주요 산유국이 모여 있는 중동 지역의 정세 변화는 원유 공급에 큰 영향을 줍니다. 2011년 리비아 내전, 2003년 이라크 전쟁,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유가가 급등한 사례가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경제 위기에도 유가는 크게 반응하는데요,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등 세계 경제가 흔들릴 때마다 휘발유 가격도 큰 폭으로 변동했습니다.